합천 황매산, 장군봉 산행
합천 황매산(1,108m), 장군봉 산행
태조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기여한 무학대사가 수도했던 합천 황매산(黃梅山)은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大幷面)·가회면(佳會面)과 산청군 차황면(車黃面)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합천 황매산의 황(黃)은 부(富)를, 매(梅)는 귀(貴)를 의미하며 전체적으로는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정상에 올라서면 주변의 풍광이 활짝 핀 매화꽃잎 모양을 닮아 마치 매화꽃 속에 홀로 떠 있는 듯 신비한 느낌을 주어
황매산이라 부르며, 합천호의 푸른 물속에 비쳐진 황매산의 세 봉우리가 매화꽃 같다하여 수중매라고도 불린다.
정상에서 보면 웅석봉, 필봉산, 왕산,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등이 하늘금을 이루며 조망되고,
황매산에서 삼봉 전망대로 이어지는 능선에서는 합천호의 호수에 떠 있는 산들이
연꽃이 되어 궁궐의 연못 같은 부용지를 연상(聯想)케 핝다.
황매산은 1983년 11월 18일 황매산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충북 단양, 경북 영주 경계의 소백산과 전북 남원의 바래봉과 함께 철쭉 3대 명산으로
매년 5월이면 황매산철쭉제가 열리는데,
올해는 “진분홍 꽃이불 덮은 황매산에 가자!”라는 주제로
5월 3일부터 5월 16일까지(2주간) 개최되지만 철쭉의 개화 절정기는 5월 5일경이었던 것 같았다.
합천 황매산 제2철쭉군락지
합천 황매산(황매봉) 정상 풍경
합천 황매산 삼봉전망대 데크계단에서 본 합천호
합천 황매산, 장군봉 산행 개요
◑ 일 시 : 2014. 5. 10(토) 07:30 ~ 19:00(탑승지 기준)
◑ 세부코스 : 11.2km(덕만주차장-1.1km-모산재,닭벼슬바위 갈림길-1.6km-모산재,황매산 갈림길-0.6km-
산불초소-0.9km-철쭉평원사거리(황매산성) 갈림길-1.1km-황매산(황매봉)-1.6km-삼거리 갈림길(중봉)-5.2km-덕만주차장
◑ 소요시간 : 5시간30분(덕만주차장 10:00- 모산재,닭벼슬바위 갈림길 10:20-닭벼슬바위 10:43-모산재,황매산 갈림길 11:02-
산불초소11:29-철쭉평원사거리(황매산성) 갈림길 11:43-황매산 정상 12:27-삼봉전망대(중식) 13:11-삼거리 갈림길(중봉) 13:53-
할미산성(탑봉) 13:58-아스팔트 도로 14:56-덕만주차장 15:30)
※ 사진촬영 : 189컷, 중식 및 몸씻기(40분소요), 충분한 자연감상 및 보통걸음
◑ 회 비 : 35,000원(여순오성산악회)
합천 황매산 산행도(산불감시초소, 닭벼슬바위, 모산재, 법연사 아래의 탐방로 표시가 현장과 괴리가 크다)
합천 황매산 산행도(장군봉과 할미산성이 같은 위치로 표기 되었으나, 할미산성은 탑봉이며,
장군봉은 할미산성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철쭉군락지에서 본 합천 황매산 전경(황매산평원-황매산-삼봉전망대-장군봉-덕만주차장)
※ 합천 황매산의 산행도를 보고 처음 가는 사람들은 산행도와 현장과의 괴리 때문에 감각이 없을 것 같아
전경사진을 만들어 보았다(박덤의 '덤'은 바위의 경남 방언)
합천 황매산 삼봉 가운데 봉에서 본 전경(황매산 정상과 황매산 평원 좌.우측의 능선)
합천 황매산 정상(황매봉)과 삼봉 전망대에서의 조망도
합 천 황매산 산행도 참고용
합천 황매산 덕만주차장 입구. 09:59
여천롯데마트에서 07:30탑승하여 순천여성회관을 경유하고 남해고속도로로 진입하여
사천휴게소에서 휴식을 했다. 진주분기점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를 타고 오다가 단성IC에서 진출하여
지방도 1006호와 60호선을 따라 덕만주차장에는 09:55경 도착하였다.
철쭉군락지, 행사장, 닭벼슬바위로 가는 길(좌측방향). 10:02
진행방향 우측 전방에는 주차요금안내소 및 관광안내소가 있어서 직진을 하였다.
이곳을 조금 지나면 좌측으로 다시 탐방로가 있다. 10:12
덕만주차장에서 올라오면은 좌측으로 탐방로 두 곳이 있는데 결국 이곳에서 만나게 된다. 10:15
좌측방향의 상두만교를 건너면 다시 이정표가 있다. 10:16
닭벼슬바위, 모산재와 오토캠핑장 갈림길 삼거리이정표와 안내도. 10:19
이곳에서 철쭉행사장, 철쭉군락지, 황매산 정상으로 바로갈 수 있으나 좌측의 닭벼슬바위 방향으로 향했다.
덕만주차장 1.0km, 모산재 1.8km, 닭벼슬바위 0.7km삼거리 이정표. 10:20
거리로 보아 닭벼슬바위일 것 같은데, 닭벼슬 형상은 정확히 알 수가 없었다. 10:43
가파른 길이 끝나고 평평한 평원의 봉우리에서 본 철쭉평원과 황매산. 10:59
올라온 좌측의 모산재 방향. 11:00
철쭉군락지와 산불초소(둘째 봉우리)로의 진행방향. 11:02
모산재와 황매산 방향의 갈림길 이정표. 11:02
삼거리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본 황매산철쭉제 행사장. 행사장에서 철쭉군락지로 올라오는 사람들. 11:03
뒤돌아 본 풍경. 11:05
좌측 아래 봉우리가 닭벼슬바위에서 올라온 첫 봉우리이고, 두 번째 봉우리가 모산재, 황매산 삼거리 이정표가
있는 봉우리이다. 우측방향은 모산재에서 돛대바위나 득도바위 방향으로 가는 길.
철쭉군락지 무리속에서 그늘을 만들고 있는 도토리나무 아니면 참나무. 11:06
제1철쭉군락지로 진행방향. 11:07
제1철쭉군락지의 봉우리에서 본 철쭉제 행사장과 황매산 전경(설명 아래). 11:10
황매산 전망대- 황매산 정상(황매봉)-삼봉-산봉전망대-보림사, 덕만주차장 삼거리(중봉)-탑봉(할미산성)-
장군봉-연꽃설-박덤(박바위)-덕만주차장. ※ '덤'은 경상남도 방언으로 바위를 말한다.
제1철쭉군락지의 봉우리에서 본 진행방향. 11:11
사진 중간 하얀 부분이 철쭉제단이 있는 곳이고, 위로는 산불초소가 있는 봉이며, 마지막 봉우리는 오르지 않고
산불초소가 있는 봉에서 황매산을 향해 수평으로 탐방로 있다.
제1철쭉군락지와 제2철쭉2군락지의 구분 이정표. 11:12
철쭉행사장 위의 황매산평원 전경. 11:15
황매산 철쭉제단. 11:16
철쭉제단 위에서 뒤돌아 본 풍경(좌측은 닭벼슬바위 방향, 우측은 모산재 방향)11:17
철쭉제단에서 산불초소가 있는 봉우리로 오르는 좌측방향의 철쭉군락지. 11:18
철쭉제단에서 산불초소가 있는 봉우리로 오르는 탐방로 풍경. 11:19
철쭉제단에서 산불초소가 있는 봉우리로 오르는 좌측방향의 철쭉군락지. 11:20
철쭉제단에서 산불초소가 있는 봉우리로 오르는 좌측방향의 철쭉군락지. 11:22
철쭉제단에서 산불초소가 있는 봉우리로 오르는 좌측방향의 철쭉군락지. 11:23
산불초소가 있는 봉우리에서 본 좌측의 천황제로 가는 방향 풍경. 11:28
산불초소(우) 봉우리에서 뒤돌아 본 달벼슬바위 봉우리와 모산재 봉우리). 11:29
산불초소 봉에서 본 황매산평원과 황매산 진행방향 풍경. 22:29
산볼초소 봉 이정표(황매산 정상 2.0km). 11:32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우리 풍경(이곳은 아이스크림 하나에 1,000원). 11:32
산불초소 봉에서 황매산 진행방향의 수평적 탐방로. 11:36
부엌 모양이나 의미를 잘 모르겠음. 11:39
산청군과 합천군의 경계선 고개로 편의상 황매산제단 사거리 갈림길이라 칭함. 11:41
황매산제단 사거리 갈림길 이정표. 11:43
황매산성과 합천 황매산(1,108m의 황매봉)11:44
황매산성과 합천 황매산. 11:46
황매산제단. 11:49
황매산을 오르는 데크길 풍경. 11:51
황매산 간이 주점. 11:53
황매산 간이 주점 메뉴.11:53
산청군 방향(멀리 운석봉과 왕산인 듯). 12:03
황매산을 오르는 데크길의 전망대(이곳에서는 아이스크림 하나에 1,500원). 12:05
황매산 전망대 이정표. 12:11
황매산 전망대 위의 바위에서 본 황매산평원 전경. 12:12
황매산전망대 위의 바위에서 본 황매산 정상(좌)과 바위암봉(우). 12:14
황매산 정상(황매봉) 풍경. 12:22
황매산 정상(황매봉 해발 1,108m표지석). 12:29
황매산 정상에서 본 진행방향의 삼봉과 삼봉전망대 전경. 12:35
태조 이성계의 조선 건국을 도왔던 무학대사가 수도했던 굴이 듯. 12:37
5월 18일 일요일 백마산악회로 떡갈재에서 황매산과 모산재-돛바위-모산재주차장 산행 계획이 있어 통과 하였음
떡갈재, 삼거리(중봉), 황매산 삼거리 갈림길 이정표(데크 의자 등 쉼터공간이 있음) . 12;38
부용지를 연상케하는 합천호와 삼봉 그리고 삼봉전망대 전경. 12:41
첫 번재 삼봉 바위를 오르는 암벽. 12:46
첫 번째 암봉에서 본 두 번째 암봉 오르는 길. 세 번째 암봉 그리고 삼봉 전망대 풍경. 12:47
삼봉 의가운데 봉에서 황매산 삼봉 안내판을 중심으로 본 덕만주차장 방향. 12:49
안내판에는 '예로부터 황매산은 수량이 풍부하고 온화한 기온으로 황(黃)은 부(富)를, 매(梅)는 귀(貴)를 의미하고
전체적으로 풍요로움을 뜻하여 황매산에 들어오면 굶어 죽지는 않는다고 전해진다.
이 곳 삼봉은 황매산 정기를 이곳으로 총 결집하여 세 사람의 현인이 태어난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는 곳으로
누구나 이 세 봉우리를 너머면서 지극정성으로 기원한다면 본인이나 후손들 중
훌륭한 현인이 될 것이라 믿는다.'라고 적혀 있다.
황매산 삼봉 안내판을 우측으로 비켜서 바라 본 전경. 12:50
두 번째 봉에서 뒤돌아 본 황매산 정상 방향. 12:51
삼봉의 세 번째 봉에서 뒤돌아 본 황매산 정상 방향. 12:57
황매산 삼봉 세 번째봉은 잡목이 가려서 조망은 좋지 않다. 봉우리 잡목 풍경. 12:59
삼봉 세 번째 봉우리에서 본 삼봉 전망대 전경. 13:01
삼봉 전망대를 오르면서 본 모산재, 철쭉평원, 철쭉군락지 방향. 13:08
삼봉전망대에서 본 떡갈재 능선 풍경. 13:11
삼봉전망대에서 본 황매산 방향. 13:12
황매산 전망대에서 본 덕만주차장의 아래방향 전경. 13:12
삼봉전망대와 황매산 능선. 13;37
삼봉전망대에서 본 지리산, 산청 운석봉, 왕산과 전북 장안산 방향. 13:38
삼봉전망대에서 본 덕유산, 가야산 방향. 13;39
삼봉전망대에서 본 함안군, 진주방향. 13:39
삼봉전망대에서 본 합천호 13:40
합천호 사이사이의 산줄기가 연꽃처럼 보여서
황매산이 궁궐이고 합천호가 연못이라는 연상이 되어 순간 부용지를 바라보는 느낌이 들었다.
삼봉전망대 봉우리에서 철쭉군락지가 있는 오토캠핑장 방향으로 갈 수 있다. 13:41
전망대에서 섬거리방향으로 조금 내려오면 철쭉군락지로 가는 탐방로가 또 있다는 표시. 13:43
삼거리 진행방향. 13:46
내리막길 데크계단에서 본 합천호. 13:46
13:47
보림사, 덕만주차장 삼거리의 중봉에서 본 합천호 풍경. 13:52
황매산 1.6km, 덕만주차장 3.2km, 보림사 3.5km 방향의 삼거리 이정표로 중봉이기도 한다. 13;53
삼거리(중봉) 이정표. 13:53
탑봉 또는 할미산성이라고도 한다. 13:58
탑봉에서 본 삼봉전망대. 13:58
탑봉에서 본 합천호. 13:59
황매산성과 치마덤 안내판 그리고 황매산 정상 풍경. 13:59
돌탑 이정표, 박덤의 '덤'은 바위의 경남 방언이라 한다. 13:59
돌탑에서 본 합천호. 13:40
우측방향의 전망바위에서 본 황매산전망대-황매산-삼봉-산봉전망대-삼거리(중봉) 능선. 14:04
등산로 좌측으로 삼봉 2.0km, 덕만주차장 3.5km의 이정표. 14:09
중봉의 보림사, 덕만주차장 삼거리에서 덕만주차장까지 3.2km인데, 이곳 이정표에는
이곳에서 덕만주차장까지 3.5km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이정표에 대한 신뢰가 없어지고 너무 실망이었다.
바위에서 본 덕만주차장 방향 전경(우측 아래에서부터 대기저수지, 모산재-득도바위 능선, 닭벼슬바위능선). 14:15
바위전망대에서 본 합천호. 14:15
황매산 등산코스에서 마지막으로 바라본 합천호. 14:16
모산재 방향. 14:17
이곳 이정표에도 덕만주차장 3.2km로 또 잘못 표기되어 있다. 14:18
음지 한쪽에 청순하게 피어 있는 제비꽃. 14:24
장군봉 이정표이나 주변이 숲에 가려있어 장군봉은 보이지 않아는다. 14:27
시원하고 푸른향기 가득한 오솔길 같은 등산로. 14:29
삼거리 1.9km, 덕만주차장 2.3km의 이정표이나 현위치가 어딘지 감각없이 그냥 걸었다. 14:30
연꽃설 안내판. 14:33
"이 지역은 마치 연꽃처럼 생겼다하여 연꽃 설이라 전해지며, 연꽃이 수중에서 자라므로 이 지역 또한
연 못처럼 생겨 샘물이 솟아오르고 이 샘은 산 아래 지역의 식수원으로 공급된다.
이곳에는 다양한 수생식물이 자라고 있는 곳으로 생태 연구가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뒤 봉우리를 장군봉이라 하여 누구나 이곳에 묘를 쓰기를 희망하는 지역으로 이 지역 윤씨 문중에서
본묘1기를 안장하였다"라고 적혀 있는데 숲이 우거져 아무것도 볼 수가 없었다.
박덤이란 말이 생소하고 의미를 몰랐는데 '덤'은 바위의 경남 방언이라 한다. 박덤=박바위. 14:36
박덤위에서 본 황매산 전망대와 중봉전망대 그리고 장군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전경. 14:40
박덤위에서 본 모산재와 황매산 전망대로 이어지는 능선 전경. 14:40
박덤에서 바라본 득도바위와 모산재로 이어지는 능선과 닭벼슬바위 방향의 능선 전경. 14:44
등산로와 승용차가 다니는 포장도로와 만나는 위치의 이정표이다. 14:56
삼거리 3.2km, 덕만주차장 1.3km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삼거리에서 덕만주차장까지 3.2km가 정확할 것 같은데
이곳 이정표를 보면 4.5km가 되는 셈이다. 많이 헷갈렸지만 그러려니 생각했다.
박덤(박바위)에서 내려와 포장도로와 만나는 이정표 풍경. 14:57
조금 내려오면 좌측 방향의 법연사로 올라가는 삼거리를 만나다.15:02
덕만주차장으로 내려오면서 본 박덤과 법연사가 위치한 곳의 풍경. 15:03
좌측으로 법연사에서 흐르는 작은 계곡이 있어서 씻고 옷을 갈아 입었는데 20분정도 소요되었다.15:06
좌측은 합천읍.대구방향이고 직진은 덕만주차장방향 삼거리로 관광안내소와 차량통행료를 징수하는 통제소가 있다. 15:27
덕만주차장의 관광버스 주차 풍경. 15:29
하산 시간이 15:00 이었으나 하산주를 드실 것이라 생각하고, 그 시간을 이용하여 몸도 씻고
여유있게 내려오는데 나 혼자 도착을 안했다고 전화가 왔다. 15:30에 주차장 도착하여
하산주 먹을 장소로 바로 출발하였다.
던성IC 및 문익점 목면시배유지 부근의 공원주차장 하산주 풍경. 17:05
덕만주차장에서 15:30에 출발하여 문익점의 목면시배유지 부근의 공원주차장에서 하산주를 먹었는데
거의 끝나가는 시간에 하산주 저리 풍경을 담아보았다.
하산주 자리를 마치고 17:10경 출발하여 사천휴게소에서 휴식을 하고
여천롯데마트에는 19:00경 도착하였다.
합천 황매산은 승용차로 출쭉제가 열리는 황매산평원까지 올라갈 수 있으므로 힘든 등산이 아닌 트레킹을 하면서
철쭉과 합천호의 풍경을 즐길 수 있는 가족단위 여행지로도 좋을 것 같았다.
등산로는 ① 덕만주차장-박덤-중봉 삼거리-삼봉전망대- 황매산-황매산성-산불감시초소-철쭉군락지-
모산재-순결바위-국사당-영암사지로 내려오는 코스와
② 떡갈재-황매산-황매산성-산불감시 초소-철쭉군락지-모산재-돛대바위-모산재주차으로 내려오는 코스의
두 개의 코스를 다녀올 수 있다면 합천 황매산에 대한 모든 풍경을 담을 수 있을 것 같았다.
다음주 일요일에는 비록 철쭉은 구경하지 못할지라도 ②코스의 산행이 계획되어 있다.
1,108m의 황매산 황매봉을 다시 올라보고 무학굴도 가보고 싶고 무엇보다도 모산재에서 내려오는 돛대바위의
암릉능선 산행이 기대가 된다. 그리고 황매매산 전체의 풍경을 가슴에 품고 싶다. 끝.